본문 바로가기
알짜배기 생활정보통

대한민국 미래를 위협하는 출산율 - 저출산 현황과 문제점(2024)

by 청년시장s 2024. 9. 2.
반응형

저출산 문제가 단순히 인구감소를 넘어 대한민국의 사회적, 경제적 미래를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저출산 현상은 노동력 감소, 경제 성장 둔화, 고령화 심화 등 여러문제를 일으키며 국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대한민국은 현재 출산율이 극도로 낮은 상황에 직면해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합니다. 오늘은 2024년 대한민국 미래를 위협하는 출산율에 대해서 자세하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산율 현황과 문제점

 

 

 

 

대한민국의 출산율은 매우 심각한 수준입니다. 2023년 합계출산율 0.72명, 2024년 현재 대한민국의 합계출산율은 0.6명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합계출산율은 한 여성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수를 나타내며, 출산 가능 연령인 15세에서~49세 여성의 출산율을 합산하여 계산된 수치입니다.

 

이러한 출산율은 지난 2017년 이후 7년 연속으로 최저치를 기록하며, 미래 세대의 인구 재생산이 사실상 불가능한 수준에 도달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20년에는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더 많은 "인구 데드크로스"가 발생했었으며 이는 인구가 자연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하며 앞으로 이러한 인구감소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통계청의 "인구동태건수 및 동태율 추이" 보고서에 따르면, 인구 감소는 점차 가속화 될 전망이며, 노동인구감소와 노인부양 부담증가를 야기해 장기적으로 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 정부의 대책과 한계

 

정부는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임대주택, 아파트공급을 대폭늘리며 주거가격을 낮추는 방법으로 저출산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이상 이부분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육아휴직 급여를 기존의 월 150만원에서 250만원으로 인상하는 등의 방안늘 내놓으며 기업에게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정책적 노력 또한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냉담한 반응입니다. 육아휴직을 사용한 후 복귀했을 때 경력단절이나 불이익을 우려하는 경우가 많아 육아휴직 사용이 자유롭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처럼 단기적인 재정지원보다는 안정적인 일자리와 주거환경을 장기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경제적 부담과 출산기피현상

 

저출산의 또 다른 중요한 원인은 경제적 부담입니다. 많은 젊은부부가 출산과 양육을 부담스럽게 느끼는 이유는 경제적 불안정성 때문입니다. 급격히 상승하는 주택가격, 높은 교육비와 육아 비용은 젊은 세대에게 큰 부담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특히 불안정한 고용환경과 낮은 임금수준은 젊은사람들이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느끼게 하며, 이로 인해 결혼화 출산을 미루게 됩니다.

 

출산을 기피하는 현상은 사회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요구합니다. 단기적인 재정지원으로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대신 안정적인 일자리 제공, 합리적인 주거 정책, 교육비와 육아비용 지원 등의 장기적인 지원책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젊은세대가 결혼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생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어야 합니다.

 

 

● 저출산 해결책과 미래전망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첫째로 정부와 기업은 함께 협력하여 일과 가정을 병행할 수 있는 유연한 근무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이는 재택근무, 탄력근무제, 시간제 근무 등의 다양한 근무방식을 도입함으로써 가능할 것 같습니다. 

 

둘째 장기적인 경제적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이는 일자리 창출, 임금 인상, 주거안정정책 등을 말합니다.

 

셋째, 사회적 인식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육아휴직 사용을 당연하게 여기고 이를 통해 경력 단절 없이 직장 생활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야 합니다. 특히 남성들의 육아휴직 사용을 장려하고, 이를 통해 성평등한 가정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결혼과 출산이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 시스템의 개혁, 청년층을 위한 경제적 지원 확대, 주거 문제 해결은 필수입니다. 이러한 노력이 결합될 때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대한민국의 미래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