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업무는 개인의 자산을 관리하고 재무목표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금융거래와 관련된 용어를 이해하지 못하면 불필요한 오해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은행에서 사용하는 기초용어를 아는 것은 개인의 금융 이해력을 높이고 효과적인 재무관리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오늘은 알고 있으면 진짜 유용한 은행기초용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은행업무관련 기초용어
1. 예금
은행이나 금융기관에 일정 계약기간 동안 원하는 금액을 한 번에 맡기는 경우를 말합니다.
2. 적금
일정금액을 매월 일정기간동안 불입 이후 약정계약 만료 이후에 금액과 이자를 받는 형식입니다.
3. 보통예금
언제든지 입금과 출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통장이며 보통 급여통장으로 사용하는 편입니다.
4. 자유적금
매달 자유롭게 금액을 설정해 저축을 하는 적금으로 수시로 넣고 싶은 금액을 저축할 수 있습니다.
5. 정기예금
목돈을 일정기간 특정 계좌에 거치해서 만기일에 원금과 이자를 받는 저축 상품입니다.
6. 정기적금
매달 고정적인 날짜에 고정적인 금액을 저축하는 방식으로 목돈 굴리기로 사용합니다.
7. 신용점수제
신용정보회사로 제공받은 정보로 점수를 매겨 대출심사 시 불이익 등을 방지하는 제도입니다.
8. 예금자보호제도
금융기관이 파산하여 예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것에 대비하는 보호제도입니다.
9. 마이너스통장
담보없이 이용하는 신용대출의 일종으로 신용등급에 따라 부여된 한도를 사용하는 대출 통장입니다.
10. 신용대출
개인의 신용도를 기준으로 돈을 빌리는 방법으로 본인의 연간 소득 수준을 기준으로 합니다.
11. 금리
빌려 준 돈이나 예금 따위에 붙는 이자, 또는 그 배율을 의미합니다.
12. 이자
남에게 돈을 빌려 쓴 대가로 치르는 일정한 비율의 돈을 의미합니다.
13. 기준금리
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환대조건부증권 매매, 자금조정 예금, 대출 등의 거래를 할때 기준이 됩니다.
14. 우대금리
금융기관에서 고객의 거래 실적, 가입기간, 채널 등에 따라 예적금 상품에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15. 비과세 저축상품
이자소득에 대한 기본적인 세금(15.4%)을 전혀 물리지 않는 금융상품을 뜻합니다.
16. 상호금융조합
조합원들의 자금을 예탁받아 운영하는 은행으로 비과세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수협, 신협 등이 있습니다)
17. 담보대출
담보 대상(집, 차 등)의 가치와 소비자의 소득에 따른 대출, 상환능력을 판단해 빌려주는 상품입니다.
18. 대출금리
돈을 빌릴 때 일정기간 동안 빌린 금액에 지급하는 이자의 비율로 상환해야 하는 돈을 말합니다.
19. 가산금리
은행의 운영비용, 수익목표, 대출자의 신용점수 등을 적용해 은행이 결정하는 금리입니다.
20. 우대금리
고객의 신용도, 거래 실적 등에 따라 은행이나 기관에서 대출금리를 할인해 주는 제도입니다.
21. 채권
정부, 금융기관, 주식회사가 투자자들 대상으로 비교적 장기의 자금을 차용하기 위해 발행한 증권입니다.
22. 국채
정부가 국가살림을 꾸리는데 필요한 재우너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투자 상품으로 원금을 보장해줍니다.
23. 변동금리
대출, 예금에 가입할 시 이자 지급시점이나 만기 때의 시장금리를 적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24. 중도상환수수료
갚기로 한 날짜 전에 대출금을 다 갚는 경우 약속에 어긴데에 대한 일종의 패널티 수수료를 의미합니다.
25. 주식
주식회사가 자본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유가증권으로 법률상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26. 매도
주식시장에서 자신이 소유한 주식을 호가로 판매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27. 매수
주식시장에서 타인이 올린 주식을 호가로 사드리는 행위를 말합니다.
28. 배당금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 이익잉여금을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금액을 말합니다.
'알짜배기 생활정보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키장 야간게장 렌탈가격 운영시간 총정리(2025) (1) | 2025.01.23 |
---|---|
겨울철 면역력 높이는 과일 추천해드립니다. (0) | 2025.01.23 |
설연휴에 꼭 알고 있어야 할 고속도로 이용꿀팁 (0) | 2025.01.20 |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이 꿈꾸는 장래희망 순위(2025) (1) | 2025.01.10 |
유튜브 쇼츠 3분 연장에 따른 변화 요약정리 (0) | 2025.01.03 |